차입형토지신탁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동산금융실무_부동산신탁(2/4)_관리형 토지신탁 & 신탁 선지급 이슈 부동산 개발사업과 관련한 신탁시리즈 정리 시작해 봅니다! 1. 부동산 개발과 관련해서, 특히 신탁이 널리 활용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신탁의 파산절연효과 때문이다. 즉, 부동산신탁계약을 통해 수탁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된 상태(신탁 상태)에서는 위탁자(소유자)의 다른 채권자는 사업부지에 대하여 가압류, 압류, 기타 강제집행을 할 수 없게 된다. (신탁법 제22조 1항) 따라서, 위탁자(소유자)는 안정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고사업에 자금을 빌려준 대주, 시공사는 사업관련 대출금, 공사대금 채권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개발사업에 신탁이 꼭 등장하는 것이다. 이전에 이야기햇듯이 신탁법은 1960년대에 만들어진 오래된 법률이지만, 잘 활용되지는 않다가 시공사가 자기자금으로 사업 전체를 주도하던.. 부동산금융실무_무궁화신탁 망했데?_독립계 부동산신탁사 어제 하염없이 연락을 기다리다 유툽을 보니, 언더스탠딩에서 무궁화신탁 이야기하는 영상을 보았다.뉴스를 전달하는 화자가 맥락을 차분차분 설명하는게 아니라, 패널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생기는 질문을 역으로 던지니, 이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려다가 또 다른 질문이 나오고, 이를 설명을 하느라 맥락을 거슬러올라가며 설명을 하고있었다. 그 영상을 보는 나도 혼란이 올 정도였다. 중간에 보다가 끊어버렸다 그래서, 부동산 신탁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부동산금융쪽에서도, PF와 같은 개발금융을 다루는 쪽이 아닌 경우, 부동산신탁을 접할일이 별로 없어 생소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리고 무궁화신탁의 이런 상태에 대해서는 사실 업계에서는 예정된 이벤트라고 보고있었던게 사실이다. 그래서 시장에 충격을 주는 서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