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이야기했던, NPL채권 진성매각 논란이다.
자료 출처들을 찾다가 금감원 보도자료 목록을 보던 와중에 발견한 내용이다
누가보아도 특정회사에 대한 검사결과를 보도자료로 낸 것인데!
지인에게 어느 회사야?라고 슬쩍 물어보았더니, 그거 뉴스 다 나갔다고 찾아보라고 하더라. 찾아보니, 아래 뉴스가 나왔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1035
'부실 PF 파킹거래 의혹' 상상인저축은행 PF펀드 조성 논란 - 연합인포맥스
저축은행 업계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매각해 단기 실적 방어에 활용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상상인저축은행의 행보가 논란이 되고 있다. 상상인·상상인플러스저축은
news.einfomax.co.kr
음. 그렇군!
핵심은 저축은행은 진짜 매각이 아닌 파킹거래를 한것처럼 보이고, 그 과정에서 자산운용사는 OEM펀드라는 자본시장법위반 이슈가 있다는 지적이다.
파킹거래가 문제인 건, 눈에 보이는 건전성을 엉뚱하게 부풀린것 처럼 보일수 있기때문에 금융기관에게는 눈속임하지 말라는 거고, 태생적으로 저축은행들이 모여서 조성한 저축은행PF정상화 펀드는 OEM이슈가 내재되어있기 때문에, 이런 지적을 피하기 위해서 모자평펀드를 만들었다는 거 정도.
이 뉴스로 무슨 화두를 던질수 있나 곰곰해본 결과, 자체 질의응답이다.
1. 왜 저축은행들은 따로 펀드를 만들었을까? 캠코 돈이 있는데!
저축은행들은 "동일인 여신한도"라는 것이 있다.
동일한 여신 차주에게 제공할 수 있는 대출금액의 한도가 있다는 의미이다. 여러 종류의 대출을 받았어도, 다 합해서 총 여신금액이 개인 8억, 사업자 50억, 법인100억원을 넘을 수 없다는 것이다.
(금액을 분산하면 거래상대방 위험이 줄어든다는 생각)
** 수정 : 2021년도 법개정으로 사업자 60억, 법인 120억으로 늘렸다고 함.
그래서 PF나 브릿지론 조달금액이 큰 경우, 여러 저축은행이 모여서 신디에 50억원씩 참여를 한다.
그 말인 즉슨, 하나의 사업장이 부실이 된 경우, 여러 저축은행이 같은 부실자산을 떠안고 있는 것이다.
(이런 대출들은 모집할때 주선기관도 무척이나 힘들다.. 그래서 수수료도 높고. 주포 한군데만 매니징하면 되는게 아니라, 제각각 다 다른 담당자들과 모든 참여자가 여심위하고, 약정서 검토하고 하는 모든과정을 일일히 다 대응해 주어야 하기때문에)
공적자금 성격의 캠코 정상화 펀드를 활용하면 될 것인데, 왜?
- 정상적으로 하면 저축은행PF까지는 매각대상 자산으로 선택받을 차례가 오지 않을 것 같아서?
- 대주단이 다 저축은행이니 서로서로 잘아는 사람들끼리, 앞으로도 동일하게 하고싶어서?
- 당장에 충당금 요구적립금액 낮추고, 펀드만기연장 계속하다가 나중에 부동산시장 다시 풀리면..?
-저축은행중앙회장님의 과욕이었나? 너네는 어떻게 할꺼냐는 무언의 팔비틀림 때문?
- 이런 진성매각 이슈를 예상하고, 외부투자자를 모집해서 이 이슈를 피하려고 했는데! 끝내 투자자를 못구했어서.
결과론적으로 이렇게 된거일수도..?
어무튼 그래서, 주요 저축은행이랑 저축은행중앙회가 공동으로 부실 PF에 투자하는 NPL펀드에 출자하기로 했다는 거다.
투자대상자산은 저축은행의 부실PF인데, 투자대상자산 선정은 운용사가 하고, 외부 전문가의 DD도 받겠다고 한다.
2차 모집부터는 투자구조도 모자형으로 만들어서 OEM이슈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은 했다.
아, 나 자료보다가 진짜 현웃 터졌네 ㅋㅋㅋ
펀드 이름 무엇? 웰컴유어NPL이래 ㅋㅋㅋㅋㅋ
그래, 아사리판에서도 꽃이 피는데, 시장이 어려워도 사람이 유머를 잃어서는 안되지!ㅎㅎ
웰컴저축은행과 같은 계열사인 웰컴운용에 펀드를 만들어서 앞에 웰컴이 붙은거 같은데, "유어" 뭐냐고 ㅋㅋ YOUR
~~~~~
오늘 하루종일 다른 자료를 만드느라, 블로그글을 오전에 쓰다가 마무리를 못했다.
내일로 미루는 수 밖에, 매일 하나씩 쓰려고 하다보니 완성도가 떨어지는 아티클인거 같아, 아쉬움이 자꾸 든다.
그래도
Done is better than perfect를 떠올리며!
아래 세가지 질문에 대한 내용은 내일 마저 마무리하기로 하자!
질문2. 투자한 자산이 부실자산에 투자하는 펀드의 수익증권인 경우, 이 투자자산(수익증권)에 대한 충당금 설정율은 어떻게 되나?
질문3. 저축은행 대주단 자율협약이 잘 이행되지 않은 이유? 핵심이 뭐지? 왜 공동출자한PF펀드를 만들기에 이르렀을까?
질문4. 금감원의 지적대로, 채권매각 이익이 과대계상된 것이라면, 금융기관이 대출채권을 매각할때 최저매각가의 설정시, 충당금을 제한 금액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근거는 무엇이지?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www.fss.or.kr
'부동산금융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금융실무_PF NPL투자가 어려운 이유 (6) | 2024.10.21 |
---|---|
부동산금융실무_PF NPL_연체이자 투자 로직 & 방어입찰 유의 (8) | 2024.10.19 |
부동산금융실무_대체투자 리스크관리_부동산PF사업성평가_등급별 세부기준(2/2) (6) | 2024.10.12 |
부동산금융실무_자산운용사_대체투자 리스크관리 모범규준 개정_부동산 PF 사업장별 사업성 평가기준 (1/2) (6) | 2024.10.11 |
부동산금융실무_ PF NPL_사업성평가에 따른 자산건전성 분류_매칭 (7) | 2024.10.10 |